NAYEON YANG

A VISUAL ARTIST

(Artist) Statement

I thought it would be a mere episode when I took an under-the-table job and got paid less than the minimum wage, rolling sushi and washing dishes in the early morning at the Sushi Express. When the business went bankrupt, I didn’t get my last paycheck, which I needed to pay my rent. I thought it would be a mere episode when I commuted four hours a day to work at a crowded wig store, endlessly packaging and shipping wigs sold through online stores. My hemorrhoids worsened because I stood still for several hours every day. I thought it would be a mere episode when I worked as a nail technician for two years. I wasn’t even interested in doing my own nails, but I stayed on because my boss was willing to give me a flexible schedule for exhibitions or artist residencies. Every time I thought it was just a brief period in my life. “This too shall pass,” I thought, imagining I would be able to look back later and smirk. 

But even now, when I can work legally, I work about 55 hours a week near the minimum wage. And, as always, the money I earn is poured into my art practice which  I make zero dollars from. Now I know there are no episodes to look back. It is the pattern I live in. I am not talking about my limited ability or personal hardships. If there is a “hardship” competition, I know a lot of people who would win the prize multiple times. Rather, what I want to discuss here are the structured situations that anyone can end up in under certain conditions. In my case, the story goes like this: making art is not wage labor; therefore, being an artist cannot be a real job. A Small Asian Girl encounters ‘Generous’ people’s projections on her to be a marginalized immigrant, a rich Asian, the face of diversity, and a perpetual foreigner all at the same time. The artist quits her job over “great opportunities” called residencies and exhibitions to sustain her artist career, then tries to find a new, obviously unstable, job after the opportunity is over. The pattern reboots periodically. These comical scenes are what make up my life. Some people disguise all this as an opportunity and required passion for art. But I, or rather we, are the ones consumed by this opportunity and used as fuel in the world. This is definitely not an ‘episode.’

I remember a co-worker who used to be a math teacher in her country. In the U.S., she gave foot massages and painted customers’ nails with a nervous smile. She worked 50 hours a week and longed for her son, who still lived in her home country. I also remember a white colleague who was angry about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But, at the same time, when she taught English at a school in an Asian country on a travel visa for a few months, even though she hadn’t majored in English or English education, and even though she wasn’t interested in Eastern culture, she was able to travel abroad after getting a fat paycheck from the school. The two stories sound different, but they were produced by the same root problem. To naively think it’s just about personal lives and different choices, I have been too fortunate and unfortunate as I come and go from place to place. To naively stay as a third person, I have witnessed too many things out of the corner of my eyes. Also, I am aware of my own privilege. Most of all, as an artist, I can tell this story. Thanks to the support of my family, I still have the choice to quit my day job without worrying about paying rent now. So, I want to use this privilege not just for me, but for us. Through my art practice, I hope to expand the idea of who is considered ‘us.’ (2019)

작가노트

하나의 일화가 될 줄 알았었다. 당시 내 비자로는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없었으므로, 최저 시급보다 낮은 시급 받으며 스시 익스프레스에서 새벽부터 스시를 말다- 6개월쯤 되었을 때 가게가 망해 월급을 떼었을 때도. 두 번 버스를 갈아타고 가발샾으로 출퇴근을 하며 주문 물품을 창고 같은 공간에서 끝없이 패킹하다 치질이 악화됐을 때도. 전시나 레지던시 스케줄에 나름 시간 조율이 가능하던 네일 테크니션이라는 적성에 맞지도 않는 일을 이년이나 했을 때도. 나는 그게 그냥 내 인생의 한 에피소드이거니 했다.

지금도,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지금에 와서도, 최저임금을 받으며 일주일 50시간이 넘는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 그렇게 번 돈은, 돈을 쓰게만 만드는 또 다른 나의 ‘직업’에 거의 모두 쏟아붓는다. 하나의 일화가 될 줄 알았지만 이게 내 삶의 패턴임을 이제는 알아버렸다. 한계나 힘듦에 관해 이야기가 아니다. ‘힘든 상황’으로 경쟁을 하자면, 나보다 더 큰 힘듦 속에 앞서있는 수많은 이들을 알고 있다. 단지 내가 사는 삶이 나만 겪는 “에피소드”가 아닌 어느 정도의 조건이 갖춰지면 누구나가 겪을 수 있는 삶이라는 걸 이야기하고 싶다. 나의 경우는 그랬다. 예술이 노동으로 인정되지 않는 이야기. ‘영어를 어눌하게 구사하는’ ‘작은’ ‘외국인’ ‘여성’에겐 전문인력으로서 선뜻 믿음을 주지 않는 ‘너그러운’ 백인/미국인들과 사는 이야기. 현 직장을 때려치워서라도, 그래서 또다시 전시나 레지던시가 끝나면 새로운 단기 직장을 찾아다녀야 함에도, 아티스트로서의 경력이 끊길까 내 시간과 돈을 바쳐 전시나 레지던시를 아등바등 쫓아다니는 우스꽝스러운 풍경 같은 이야기 말이다. 이 속에 자리 잡고 있는 게 내 삶이다-란 것. 예전부터 누군가는 이 모든 것이 다 기회인 양 청춘인 양 포장하지만 정작 사람이 아닌 기회로써 소비되고 있는 건 나다. 우리다. 그리고 그런 문화에 적응하고 편승하는 것도. 이것은 분명 일화가 아니다.

언제나 그렇듯 나의 이야기를 하다 보니 이것은 우리의 이야기가 되었다. 나는 손님의 발을 닦이던, 얼룩지기 쉬운 분홍색을 잔뜩 긴장한 얼굴로 빠르게 손님 손톱에 칠해주던, 주 50시간 일했던, 모국에 둔 아들을 그리워하던, 수학 선생님이었다던 이를 기억한다. 그리고 기회의 불평등을 외치지만, 영어나 영어 교육이 전공은 아니지만, 동양의 문화에 관심은 없지만, 동양 어느 나라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며 고액의 급여를 받아 해외여행을 다니던 백인 동기들도 기억한다. 둘은 분명 다른 것 같지만 같은 굴레 안에서 생산된 이야기었다. 각 개인의 행복과 불행이라고 인식하기엔 나는 이곳저곳을 드나들었고, 어설프게 복에 겹고, 없는 삶을 진행하며 곁눈 짓으로 본 것이 많아졌다. 나도 나만의 기득권이 있다. 작가로서 이런 이야기를 흘릴 수 있고, 나를 응원해주는 가족 덕에 월세에 대한 걱정을 접고 원하면 이 알바를 그만 둘 수 있는 선택의 자유가 있게 되었다. 그래서 좀 더 영리하게 굴어, 이 기득권을 나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를 위해, 혹은 더 다양하고 넓은 공감대 ‘우리’를 만나기 위해 쓰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2019)

Nayeon Yang, 양나연 (b.1983, Chuncheon, S. Korea) is an  interdisciplinary artist and manual worker based in Chicago and S. Korea.